반응형 팩터리 메서드1 [이펙티브 자바] 아이템 1 - 생성자 대신 정적 팩터리 메서드를 고려하라 나는 주로 회사에서 DTO 를 생성할 때 정적 팩터리 메서드 방식으로 개발했었다. 사실 메서드 명으로 어떤 역할을 하는지 표현이 되니까 사용했지, 생성자 방식에 비해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는 명확히 모르는 상태였다. 책을 보면서 개념을 정리해보자. 정적 팩터리 메서드의 장점 1. 이름을 가질 수 있다. 생성자를 사용한 경우 정적 팩터리 메서드를 사용한 경우 아래의 경우가 확실히 메서드의 역할을 잘 설명한다. 참고로 책에서 시그니처에 대한 말이 나와서 이게 뭔지 이해가 안갔는데, 블로그를 검색해보니 ‘메서드 명 + 파라미터’ 를 합친 말인 것 같다. 즉, 메서드 명과 파라미터가 같은 경우, 같은 시그니처이다. (리턴 타입과 예외 등은 달라도 무방하다) 참고 : Java Method Signature :: 한.. 2023. 3. 1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