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Mustache1 DAY 1 - 2 # GET / POST 방식 GET : 클라이언트에서 서버의 리소스를 가져올 때 POST : 클라이언트에서 서버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 # Controller Controller가 뭔지 생소한 분들이 있을 것 같아 간단히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Controller : 사용자(Client)의 요청(Request)을 어떻게 처리(Handling) 할 지 결정하는 녀석 우리가 User에 대한 컨트롤러를 생성하기 위해서 클래스를 다음과 같이 만들었다. public class UserController { } 하지만 스프링은 해당 클래스가 컨트롤러인지 알 수가 없다. 스프링이 컨트롤러로 인식하게 하려면 애노테이션 @Controller를 사용하여야 비로소 이 클래스가 컨트롤러의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Con.. 2019. 5. 4. 이전 1 다음